외환위기 20년, 아물지않은 상처
[토요판 커버스토리] 1998년 퇴출 은행원들 그 후
33세에 직장에서 나왔다. 직장은 문을 닫았다. 은행이 망할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기에 충격은 컸다.
김상훈(가명·52) 씨는 1998년 6월 29일 퇴출된 동화은행의 직원이었다. 상고 졸업 후 취직한 지 14년 만이었다. 재취업을 알아봤지만 허사였다. 퇴출 은행 직원에게 문을 열어주는 회사는 없었다. 포장마차, 택시 운전, 막노동 등 닥치는 대로 일했다. 한숨 쉴 여유조차 없었다. 두 딸과 홀어머니를 부양해야 했기 때문이다.
2001년 8월 23일, 정부는 예정보다 3년 앞서 구제금융 195억 달러를 모두 갚고 국제통화기금(IMF)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공식 선언했다. 하지만 김 씨의 생활은 거의 그대로였다. 2008년 보험설계사 일을 하면서 다시 양복을 입고 일하게 된 게 그나마 위안거리다.
외환위기가 남긴 상처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한번 직장에서 쫓겨난 이들은 좀처럼 다시 과거의 안정적 삶으로 되돌아갈 수 없었다. 자산과 소득의 불균형에서 비롯된 양극화도 여전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1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20년 전의 외환위기는 불쑥 날아든 해고 통지였고, 가장의 실직이었으며, 구조조정과 실업의 공포였다. 그 후유증으로 저성장과 실업이 구조화되고 국민의 삶이 무너졌다”고 말했다. 국가역할론, 사람중심 경제를 해법으로 제시했지만 손에 잡히는 구체적인 대책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국 경제는 지금 뜨거운 냄비 안에 들어 있는 개구리다. 5년 이내에 냄비에서 뛰쳐나가지 못하면 그대로 죽을 것이다.”
김상훈(가명·52) 씨는 1998년 6월 29일 퇴출된 동화은행의 직원이었다. 상고 졸업 후 취직한 지 14년 만이었다. 재취업을 알아봤지만 허사였다. 퇴출 은행 직원에게 문을 열어주는 회사는 없었다. 포장마차, 택시 운전, 막노동 등 닥치는 대로 일했다. 한숨 쉴 여유조차 없었다. 두 딸과 홀어머니를 부양해야 했기 때문이다.
2001년 8월 23일, 정부는 예정보다 3년 앞서 구제금융 195억 달러를 모두 갚고 국제통화기금(IMF)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공식 선언했다. 하지만 김 씨의 생활은 거의 그대로였다. 2008년 보험설계사 일을 하면서 다시 양복을 입고 일하게 된 게 그나마 위안거리다.
외환위기가 남긴 상처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한번 직장에서 쫓겨난 이들은 좀처럼 다시 과거의 안정적 삶으로 되돌아갈 수 없었다. 자산과 소득의 불균형에서 비롯된 양극화도 여전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1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20년 전의 외환위기는 불쑥 날아든 해고 통지였고, 가장의 실직이었으며, 구조조정과 실업의 공포였다. 그 후유증으로 저성장과 실업이 구조화되고 국민의 삶이 무너졌다”고 말했다. 국가역할론, 사람중심 경제를 해법으로 제시했지만 손에 잡히는 구체적인 대책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국 경제는 지금 뜨거운 냄비 안에 들어 있는 개구리다. 5년 이내에 냄비에서 뛰쳐나가지 못하면 그대로 죽을 것이다.”
3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규제연구센터가 국내 경제전문가 48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이렇다. “한국 경제가 ‘냄비 속 개구리’인가”라는 질문에 88.1%가 ‘그렇다’고 답했다. 대학교수, 연구원, 대기업 간부 등인 이들은 한국이 ‘냄비 탈출’을 할 수 있는 마지막 시간을 최장 5년으로 봤다. 경제 구조개혁에 남은 시간이 ‘1∼5년’이라는 응답이 90.4%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 위기의 핵심 원인으로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 △역동성 없는 산업구조의 경직성을 꼽았다. 곽노선 서강대 교수(경제학)는 “세계적으로 인구구조와 산업구조가 바뀌는 지금이 한국 경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교차점”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퇴출자 8950명 중 942명만 재고용… 대다수 재기 실패
- “인생 황금기 30, 40대에 짙은 어둠속 걸어… 손에 쥔 건 빚뿐”
- [토요판 커버스토리]외환위기 20년, 은행에서 쫓겨난 그들은…
동화은행 퇴직자들의 ‘삶의 궤적’ - 외환보유액 3844억 달러 ‘세계 9위’… 노동-공공부문 구조개혁은 지지부진
- 대우-쌍용 등 11곳 그룹해체… 한라-한솔 등 8곳 30위 밖으로
- “한국경제, 냄비 속 개구리… 5년내 탈출 못하면 생존 어려워”
- 경제전문가 대부분 위기론 공감
동아일보 취재진은 동화은행 퇴직자 5명을 만나 그들의 고단했던 20년간 삶의 여정을 되짚어봤다.
강유현 yhkang@donga.com / 세종=박재명 기자
MBC 뉴스데스크 (1997년 12월 5일)
게시일: 2014. 11. 14.
IMF 외환위기 여파로 고려증권 부도, 종합금융사 부도 위기
명견만리 'IMF 20년, 중산층이 사라진다' - 2017.3.24.KBS http://blog.daum.net/soonchang4623/719
[대우 등 11곳 해체, 8곳 탈락]
삼성(現1위)·LG(4위)·롯데(5위)… 주력사업 과감한 재편으로 약진
포스코·농협 등 15곳 새로 진입
고강도 구조조정했던 효성은 뒤늦게 분식회계 혐의로 곤욕
이규성(78) 전 재정경제부 장관 - 2017.11.22. 동아 外 http://blog.daum.net/soonchang4623/1816
'한반도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길갈 - 태극기 연설 / 미디어 2017.11.14. 外 (0) | 2017.11.15 |
---|---|
'월화수목'금토일… 4일만 일해도 생산성 안떨어졌다-2017.11.13.조선外 (0) | 2017.11.13 |
성수동 카페거리 임대료 상승률 1위 - 2017.11.1.중앙 外 (0) | 2017.11.01 |
도시재생이 달랑 40가구 짓는 '동네 집장사'?-2017.10.24.조선外 (0) | 2017.10.24 |
변호사·건축사 20%는 월 200만원 못 번다 - 2017.10.23.중앙外 (0) | 2017.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