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믿고 쓸게 없네… 생리대 '집단 스트레스' - 2017.8.28. 조선外

하늘나라 -2- 2017. 8. 29. 19:01



"믿고 쓸게 없네"… 생리대 '집단 스트레스'



美·佛제품서도 유해성분 검출
안전한 생리대 찾아 헤매느라 '생리대 노마드'란 말까지 등장

여성환경연대 "미국 P&G보다 국내산이 검출수준 훨씬 양호"


"공포감까지 느껴요. 너무 불안해서 해외 유기농 제품을 사려고 해도 모두 '완판'(모두 팔림)이네요."

지난달까지 '릴리안' 제품을 썼다는 직장인 손모(27·경기도)씨는 27일 "당장 생리 기간이 또 돌아오는데 어떤 생리대를 쓸지 스트레스가 크다"며 이렇게 말했다. 유명 인터넷 육아 카페 등에서도 '어떤 제품 쓰느냐' '미국 생리대는 괜찮나' 같은 질문이 쏟아지고 있다. 여성들이 안전한 생리대 제품을 찾는 이 같은 현상을 두고 '생리대 노마드(nomad)'란 말까지 생겨났다.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최근 '생리대 유해물질' 논란과 관련해 여성들이 '집단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 제품 찾지만…

하지만 해외 제품 역시 '안전하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여성환경연대가 강원대 김만구 교수에게 조사를 의뢰한 결과 국내 생리대 제품에서 발암물질 등 인체에 해로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검출됐다는 발표가 나왔지만 해외 제품도 비슷한 조사 결과가 있다.

생리대 유해성에 대한 논란은 지난 2014년 미국 여성 환경 단체 '지구를 위한 여성의 목소리'(WVE)가 처음 제기했다. WVE는 당시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P&G 생리대 '올웨이즈' 제품 4종에 든 유해물질 검출량을 조사해 발암물질이거나 생식(生植) 독성 등이 있는 스티렌 같은 여러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미국 시민단체의 P&G 생리대 유해성 조사 결과 표


여성환경연대의 국내 생리대 조사에서도 스티렌 등 유해물질이 검출됐지만 "미국 P&G 생리대보다는 검출 수준이 훨씬 양호하다"는 게 여성환경연대 측 주장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생리대에서 VOCs가 검출돼도 이를 제재하는 등 관리 기준을 마련한 나라는 없는 상태다.

생리대 유해물질 논란은 외국에서도 진행 중이다. WVE 회원들은 올 5월 미국 국회를 찾아 "여성 위생용품에 어떤 성분이 쓰이는지, 이 성분이 안전한지 알권리가 있다"며 시위를 벌였다. 프랑스에선 작년 2월 '6000만 소비자들'이란 잡지가 생리용품 11종을 자체 검사해 이 중 5종에서 다이옥신이나 살충제 성분 등이 나왔다고 발표해 논란을 부르기도 했다. 프랑스 정부는 '극히 소량 검출돼 심각한 위험은 없다'고 했지만 "소량이라도 장기·반복 노출되면 위험할 수 있다"는 반박도 이어지고 있다.

제품명 공개 공방

여성환경연대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생리대 제조사·제품명과 검출량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릴리안 제품 외 "다른 어떤 제품이 유해한지 알려 달라"는 요구가 많지만 여성환경연대는 "식약처에 조사 자료를 넘겼다. 정보 공개 여부를 식약처에 일임했다"는 입장이다. 여성환경연대에 생리대 제조 회사인 유한킴벌리 임원이 이사로 활동하고 있어 조사 결과를 믿기 어렵다는 주장도 불거 졌다. "릴리안 제조사인 '깨끗한나라'의 경쟁 회사 임원이 조사 과정에서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환경연대는 이에 대해 "유한킴벌리 임원이 이사로 활동하는 사실이 생리대 검출 실험이나 공개 여부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생리대 부작용 논란에도 저소득층 청소년 생리대 지원 사업을 이어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뉴스해설] 이번엔 ‘유해 생리대  

게시일: 2017. 8. 29.

[이현님 해설위원]

한 회사의 생리대 부작용 사례가 속출하면서 그 파문이 일파만파입니다. 판매 중단과 환불 소동에 한꺼번에 사다 놓은 것을 다 버릴 만큼 불안감이 큽니다. 다른 제품은 안전한지 여성들은 철저한 전수조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와 달걀 파동에 이어 유해 생리대까지 화학물질 공포증은 더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번 일은 여성들 사이에서 문제가 된 제품 사용 후 생리주기에 변화가 생기고 생리량이 줄었다는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한 대학의 일회용 생리대 유해물질 검출시험 결과가 나오면서 논란은 더 확산됐습니다. 한 시민단체 사용자 제보엔 혼자 겪는 줄만 알았던 여성들의 부작용 사례가 수천 건 쏟아졌습니다. 생리대의 안전성에 대해 그동안 여성들은 미심쩍었으나 드러내기 쉽지 않았습니다. 소비자들의 항의와 분노가 들끓고 공론화돼서야 해당 제품 회사는 환불조치에 나섰습니다. 가습기 살균제와 살충제 달걀 파동을 겪은 소비자들은 집단 소송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문제가 커져서야 사후 대응하는 업체와 식약처에 대한 불신이 큽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전수조사로 왜 그런 부작용이 일어났는지 인과관계를 제대로 밝히고 다른 제품은 괜찮은지 철저히 밝혀야 합니다. 여성들이 반복해 수십 년을 써야 하는 소모품인 동시에 필수품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성분에 대한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공개로 불안감과 공포를 해소시켜야 합니다. 생리대와 유사한 성분과 소재가 들어갈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 등 다른 위생용품 안전성에 대해서도 점검해야 합니다.

생리대 안전성은 세상의 절반이자 미래세대를 낳고 키우는 여성건강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유해화학물질을 규제하는 기준을 정비하고 강화해야 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독성 생리대' 두고 식약처ㆍ시민단체 '핑퐁 게임'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게시일: 2017. 8. 28.

'독성 생리대' 두고 식약처ㆍ시민단체 '핑퐁 게임'

[앵커]

생리대 안전성 논란을 확산시킨 여성환경연대의 '유해물질 검출시험' 결과에 대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은데요.

릴리안 외 제품명 공개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여성환경연대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핑퐁게임'을 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정선미 기자입니다.

[앵커]

여성환경연대는 지난해 10월 강원대 김만구 교수팀에 시중 생리대 10개 제품에 대한 유해물질 조사를 의뢰했고 그 결과를 지난 3월 발표했습니다.

10개 제품 모두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한 유해물질 22종이 검출됐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업체명은 릴리안 하나뿐입니다.

'릴리안 사태'가 불거지면서 조사한 전체 생리대 제품명과 검출량 등 구체적인 결과를 공개해달라는 요청이 거세졌지만 여성환경연대는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했다가 갑자기 식약처에 공개 여부를 일임하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식약처 역시 자체 실험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대리 공개는 힘들다는 입장입니다.

이처럼 식약처와 시민단체가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면서 그 피해는 불안한 생리대를 계속 써야하는 소비자, 그리고 유일하게 공개된 업체인 릴리안에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릴리안을 생산하는 깨끗한나라는 "공정성에 의문이 든다"며 "릴리안 외에 9개 제품명도 밝히라고 촉구했습니다.

또한 오늘(28일) 오후 2시부터 릴리안 환불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릴리안에 대한 집단소송을 준비하는 인터넷 카페에는 환불 금액이 너무 적다고 지적하는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선미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장영민(36) 한나패드 대표 '면 생리대' - 2017.8.31.중앙外  http://blog.daum.net/soonchang4623/1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