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지금

‘부실검사’ 농장 420곳 재조사…살충제 계란 - 2017.8.19.동아 外

하늘나라 -2- 2017. 8. 19. 21:34




‘부실검사’ 농장 420곳 재조사…살충제 계란 늘어날 수도



제주시 한 양계농장에 살충제 비펜트린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한 '15연암' 계란 20판이 회수돼 있다. © News1


지방자치단체들이 관내 산란계 농가를 대상으로 ‘살충제 계란’ 여부를 검사하면서 시약 부족으로 일부 살충제의 경우 검출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뉴스1의 단독 보도에 따라 방역당국이 보완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추가 조사 대상 농장은 420곳이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확인된 49개 농장에 더해 ‘살충제 계란’ 농장이 추가로 확인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9일 산란계 농가 살충제 계란 검사 후속조치를 위해 시?도 부지사 회의를 긴급 개최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우선 방역당국은 친환경 인증 산란계 농가가 아닌 일반 산란계 농가들에 대한 조사를 담당한 지자체들이 식약처가 규정한 살충제 27종 중 일부 살충제 검출 여부를 검사하지 못하고 누락한 것과 관련, 국민들의 불안감을 감안해 보완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정부는 애초 27개 살충제 성분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지만 뉴스1 취재 결과 지자체에서는 시약 부족으로 모든 성분에 대해 조사하지 않았다.


정부는 <뉴스1>의 보도 직후 “유럽에서 문제가 돼 국민들의 우려가 큰 피프로닐과 이번 전수조사에서 검출 빈도가 가장 높았던 비펜트린의 경우 모든 농가에서 조사해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필요하다면 각 시·도의 상황을 파악해 보완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미온적인 입장을 취했다가 하루 만에 보완 조사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지자체가 조사를 담당했던 일반 산란계 농가 중 검사가 제대로 진행된 경북 등을 제외한 전국 420개 농장에 대해 27종 전체 살충제 여부 검사가 이루어진다. 지자체별로 부족한 표준 시약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제공받는다.

관련기사

살충제 달걀이 발견된 부적합 농장 49곳에 대해서는 일일 단위로 생산되는 계란에 대해 검사를 실시해 안전성이 확인된 후 유통을 허용하기로 했다.


또 살충제 달걀 농가에서 키우는 산란계가 살충제에 오염된 상태로 유통될 우려가 제기되는 데 따라 이들 농장에 대해서는 정밀검사를 실시해 합격한 경우에만 산란 노계를 도축장으로 출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와 무관한 닭고기용 육계는 농약 등 잔류물질을 검사하고 있으며 적합한 것만 시중에 유통되도록 관리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식약처에서 유통 계란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요청이 있을 경우 적극 협조해달라”며 “해당 시·도에서도 자체적으로 음식점, 소규모 판매점, 집단급식소 등에서 부적합 계란을 판매·사용하지 않도록 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세종=뉴스1)




'못 믿을 HACCP' 살충제 계란농장 59% 인증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게시일: 2017. 8. 19.

'못 믿을 HACCP' 살충제 계란농장 59% 인증
[뉴스리뷰]

[앵커]

살충제 계란 파문을 계기로 부실한 식품안전 행정의 실상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친환경 인증 농가에서 살충제 계란이 대거 검출되더니 살충제 검출 농가의 절반 이상이 정부가 관리하는 위생체계 해썹(HACCP) 인증까지 받은 것입니다.

정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살충제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한 계란을 생산한 농장의 절반 이상이 정부의 식품안전관리 기준인 '해썹' 인증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번에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장 49곳 중 59%인 29곳이 계란 생산과 관리, 유통이 안전하다는 판정을 받았다는 이야기입니다.

해썹은 식약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식품 위해 요소를 관리하는데, 닭이 살모넬라균에 감염되지 않았는지, 항생제를 쓰지 않았는지 기준을 만족하면 해썹 마크를 붙여줍니다.

살충제 잔류 검사가 해썹 인증기준에 포함된 것은 지난해 11월, 하지만 살충제 계란을 걸러내지는 못했습니다.

인증원은 올해 5월까지 조류인플루엔자 때문에 농가 출입이 금지돼 관리를 못한 사정이 있다는 말만 되풀이합니다.

정부의 허술한 위생관리가 드러난 것은 이 뿐만이 아닙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살충제 성분 비펜트린의 잔류 허용기준이 마련된 것은 2004년 3월, 하지만 13년간 실제 검사는 한 번도 없었습니다.

또 다른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과 관련한 기준은 아예 없습니다.

농식품부는 계란의 피프로닐 기준이 없어 국제규격식품위원회의 기준을 준용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조사가 이뤄진 적은 없었습니다.

피프로닐, 비펜트린과 함께 검출된 플루페녹수론, 피리다벤, 에톡사졸 역시 검사 기준이 없기는 마찬가지.

사고가 터져야 대책을 만드는 정부의 '사후약방문'식 대응에 국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살충제 달걀' 공포… 유럽 밥상서 계란 사라졌다-2017.8.9.조선 外  http://blog.daum.net/soonchang4623/1363


김재홍(63) 서울대 교수, 수의사 - 2017.8.21.중앙  http://blog.daum.net/soonchang4623/1412


달걀 회수했지만… 불신·불안 여전 - 2017.8.22.kbs  http://blog.daum.net/soonchang4623/1421


문홍길(53) 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장‘살충제 계란’-2017.8.25.중앙外  http://blog.daum.net/soonchang4623/1431


조영상(52) 자연을 닮은 사람들 대표'살충제 계란'-2017.8.26.중앙外  http://blog.daum.net/soonchang4623/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