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온난화에 쌀마저 위태롭다
- 쌀 생산, 2040년엔 14% 감소
국내에서 재배 '온대 벼' 웃자라… 낱알 줄면서 수확량도 크게 줄어
- 열대과일 재배지는 매년 北上
안동에서 망고, 경주선 신라봉… 강원도가 사과·포도 명산지로
열대과일 생산 작년 53% 급증
농촌진흥청은 30일 "2040년에는 국내 쌀 생산량이 1000㎡당 408.7㎏이 될 것"이라면서 "이는 쌀 생산량이 정점에 올랐던 1990~2000년의 473㎏(1000㎡당)에 비해 13.6% 줄어든 수치"라고 밝혔다. 진흥청은 현 추세대로 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2060년엔 생산성이 22.2%, 2090년에는 40.1%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일반적으로 벼는 기온이 높을수록 잘 자란다고 알려졌는데, 이는 '열대 벼' 품종에만 해당하는 얘기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온대 벼'의 경우 벼 알이 성숙해지는 시기에 평균 기온이 27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벼가 웃자라면서 낱알을 채우지 못한다.
국내에서도 날씨가 선선한 지역에선 벼꽃이 빨리 피는 조생종을 심고, 따뜻한 지역에서는 중·만생종을 심는다. 농촌진흥청은 기온이 높을수록 중·만생종의 피해가 훨씬 크다고 설명했다. 이건휘 농진청 작물재배생리과장은 "앞으로 고온에 적응할 수 있는 벼 품종과 재배법을 개발하고, 보리·콩·감자 등 다른 작물이 기후변화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일 재배 지도가 바뀐다
경북 안동시 와룡면의 황순곤(54)씨는 파파야·바나나·망고·용과 등 다양한 열대 과일을 기른다. 2010년 사과 농사를 접고 열대 작물을 심었다. 황씨는 "고온 다습한 여름에는 밭에 열대 과일을 재배하고, 겨울에는 온실 재배로 전환한다"며 "기후변화에 대비해 전통 과수를 포기했는데, 열대 과일 수요가 늘어나면서 수입이 좋은 편"이라고 말했다.
열대 과일 재배 지역은 해마다 조금씩 북쪽으로 올라가고 있다. 2014년까지 열대 과일 재배 실적이 없었던 대구·부산·전북·충남·충북 등엔 지난해부터 열대 과일 농가가 등장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요 열대 과일 재배 면적은 106만6000㎡, 재배 농가는 264호로 집계됐다.
2014년(58만㎡·174호)보다 면적은 83.7%, 재배 농가는 51.7% 늘었다. 지난해 국내 열대 과일 생산량은 1174t으로, 전년(769.6t)보다 52.5% 급증했다. 품목별로는 패션프루트(408.7t), 망고(398t), 파인애플(167t), 용과(86t), 파파야(62.9t) 순이었다.
◇강원도가 사과·포도 주산지로
경북은 현재 전국 사과 생산량의 62%를 차지하는 사과의 고장이다. 하지만 2090년대엔 경북에서 사과가 자취를 감출 전망이다. 사과 재배지는 이미 강원도까지 올라갔다. 지난해 11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에선 강원도 양구군의 사과와 영월군의 포도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강원도는 기후변화 대체 작목으로 사과와 포도를 중점 육성하고 있다.
사과는 물론 복숭아도 경기·강원까지 재배지가 북상했다. 제주의 감귤 농가들은 아예 열대 과일을 새 작목으로 선택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고 한다. 2070년 무렵이면 아열대 과일인 감귤의 재배 가능지는 강원도·남해까지 이동할 전망이다. 1985년 전까지 제주 지역에서만 났던 월동 배추와 겨울 감자가 지금은 전남 해남·보성 등 남부 해안 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열대 과일 재배 농가가 늘고 있지만 판로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는 "예전에 국내산 바나나와 파인애플은 값싼 외국산 때문에 시장에서 밀려났다"며 "열대 과일은 첫 수확까지 3~4년 정도 시간이 필요한 만큼 면밀하게 준비한 뒤 재배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열대 한반도'… 망고에 구아바까지
'아열대 한반도'…망고에 구아바까지
[앵커]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의 농작물 재배 한계선이 북상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품종과 재배기술 개발도 한몫하고 있는데요.
긍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성연재 기자입니다.
[기자]
중부 내륙의 충북 청주시 서원구의 도로 변 바나나 나무에 열매가 달렸습니다.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열대과일인 바나나가 한반도 중부지방에서도 열린 것입니다.
[김명배 / 충북 청주시 남이면] "노지에서 자라서 이렇게 자라는 것은 처음 봅니다. 진짜 이렇게 처음 보니까 신기하고…"
충주 지역에서는 2011년부터 제주 등 남부지방에서 주로 생산되던 한라봉을 재배하고 있고 충주농업기술센터는 2012년 멜론 시험 재배에도 성공했습니다.
열대 과일의 대명사인 망고 역시 전남 고흥의 비닐하우스 단지에서 자라고 있으며 전남과 부산에서는 파파야와 구아바, 레몬그라스 등도 생산됩니다.
한반도가 아열대화하면서 농작물의 재배한계선이 차츰 북상하고 있는 것입니다.
기상청과 환경부가 올해 2월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는 남부지방 전체, 2070년에는 한반도 이남이 모두 아열대 기후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아열대 과일의 한계선이 올라가면서 2000년 10㏊ 안팎이던 국내 아열대 작물 재배 면적은 지난해 120㏊를 넘어설 정도로 급증했습니다.
과거 보다 난방비 부담이 줄어든 데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면서 고소득 작물인 아열대 과일 재배를 농가에서도 선호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토종 과일이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고 이에 따른 농가 피해도 늘고 있습니다.
외래 병해충 방제 등에 대한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성연재입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한반도 지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흔 노병의 특별한 외출 '서정열/6.25 참전 용사'-2016.7.8.kbs外 (0) | 2016.07.09 |
---|---|
개인회생 서민 등친 ‘검은 커넥션’ '변호사' - 2016.7.7.동아 外 (0) | 2016.07.07 |
대청호 쓰레기 비상 - 2016.7.6. MBC 外 (0) | 2016.07.07 |
휴지통 없애니 화장실이 웃네요 - 2016.6.30.동아 外 (0) | 2016.07.03 |
얼굴 싹 바꾼 100억 사기범! / 통영 - 2016.6.12.MBN 外 (0) | 2016.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