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 아들에게 눈이 되어준 어머니 …
이제 99세 어머니께 아들이 손발 됐습니다
43세에 낳은 늦둥이 막내 아들
30대에 시력 잃자 어머니 통곡
그날 이후 아들 앞 눈물 안 보여
거동 힘든 노모, 아들이 손 감각으로
식사 챙기고 기저귀도 갈아드려
“주위서 요양병원 권하기도 하지만
어머니 곁에 있는 행복이 더 크죠”
아들은 이불에 누운 노모의 팔과 다리를 연신 주물렀다. 어머니의 얼굴을 어루만지며 “오늘 아침에 목욕했더니 피부가 고우시네”라고 말했다.
서울 강서구 등촌동 36㎡(약11평) 임대 아파트 안방에서 99세 어머니와 56세 아들의 살가운 대화가 이어졌다. 아들을 바라보는 어머니는 함박웃음을 지었다. “우리 아들 늘상 예쁘제”라고 칭찬하자 아들이 겸연쩍게 말했다. “어머니와 저는 한 몸이나 마찬가지예요. 제 머릿속에 어머니의 몸이 샅샅이 그림 그려져 있거든요.”
![1급 시각장애인 김형종씨(오른쪽)가 99세 어머니 박안순씨의 어깨를 주무르자 박씨가 활짝 웃었다. [최정동 기자]](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08/a2689859-702c-478a-819b-9712d6a26193.jpg)
1급 시각장애인 김형종씨(오른쪽)가 99세 어머니 박안순씨의 어깨를 주무르자 박씨가 활짝 웃었다. [최정동 기자]
아들 김형종씨는 어머니의 ‘고운’ 피부를 눈으로는 볼 수 없다. 서른 살 무렵 시력을 잃었다. 안구의 혈관층인 포도막에 염증이 생기는 안구질환이 그의 시력을 앗아 갔다. 그는 1급 시각장애인이 됐지만 10년째 어머니 박안순씨를 극진히 보살피고 있다. 어머니는 2007년부터 중풍을, 2015년부터는 치매를 앓고 있다.
동네에서 효자로 소문난 김씨의 하루는 어머니의 아침 식사를 챙기면서 시작된다. “소화 기능이 약해진 어머니를 위해 하루 세끼 다진 고기나 팥·깨 등을 넣은 여러 종류의 죽을 만들죠. 시금치·마늘·참기름·꿀을 함께 넣어 만든 죽을 가장 맛있게 잡수세요.”
왼쪽 팔과 다리가 마비된 어머니는 기저귀를 사용한다. 김씨가 하루에 다섯 번쯤 갈아드린다. 기저귀 안과 밖을 손으로 만져보며 기저귀 갈 때를 챙긴다. 매주 한두 번 목욕을 시켜드릴 때는 담요를 들것 삼아 어머니를 화장실로 실어 나른다.
김씨는 박씨가 마흔셋에 얻은 늦둥이다. 김씨가 여섯 살 때 세상을 떠난 아버지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강제노역으로 몸이 성치 않았다. “아버지는 허리가 불편하고 몸이 쇠약해 누워 계신 날이 많았어요. 아버지를 대신해 어머니는 농사를 지어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2남2녀를 키우셨죠.”
김씨는 어머니·형과 함께 고향인 전북 정읍시를 떠나 1983년 서울에 터를 잡았다. 책이나 정수기 방문판매원, 호텔 안내원 등으로 일하며 악착같이 돈을 벌었다. 그러던 91년 어느 날 왼쪽 눈이 몹시 쑤시고 침침했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오른쪽 눈마저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 참다못해 찾은 병원에서 청천벽력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포도막염을 제때 치료하지 않아 실명하게 될 것”이라는 의사의 진단이었다. 그의 나이 서른이었다. 서서히 시력을 잃어 갔다. 그래도 생계를 위해 공사장에서 막노동을 했다. “어머니에게는 이 사실을 숨겼어요. 집에선 앞이 잘 보이는 척 행동하다가 뜨거운 음식을 쏟아 데이고 이곳저곳에 부딪쳐 몸은 멍투성이가 됐지요.”
포도막염 발병 후 3년 만에 그는 한 줄기 빛조차 보지 못할 정도가 됐다. 어머니에게 실명 사실을 고백한 날을 떠올리면 지금도 눈물이 난다고 했다. “어머니는 손과 발로 방바닥을 내리치시면서 목 놓아 우셨어요.”
![1급 시각장애인 김형종씨(오른쪽)가 99세 어머니 박안순씨의 어깨를 주무르자 박씨가 활짝 웃었다. [최정동 기자]](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08/a3e0c1ea-3f74-4d90-a69c-4893944e0832.jpg)
1급 시각장애인 김형종씨(오른쪽)가 99세 어머니 박안순씨의 어깨를 주무르자 박씨가 활짝 웃었다. [최정동 기자]
함께 살던 김씨의 형이 결혼하면서 모자는 96년부터 21년째 단둘이 살고 있다. 건강이 나빠진 어머니를 위해 손의 감각으로 요리·빨래·청소를 익혔다. 손은 수없이 찍히고 베였다. 작은 상처들은 공사장에서 생긴 굳은살처럼 변했다.
정작 김씨를 가장 아프게 한 건 어머니에게 치매 증세가 나타났을 때였다. “저 이외의 사람들을 알아보지 못했고 혼잣말을 할 때도 있으셨어요.” 다행히도 치매는 호전됐다. 아들의 보살핌 덕분이었는지 주변 사람들을 다 알아보고 일상적인 대화도 가능해졌다. 모자는 기초생활수급비·노령연금·장애인연금을 합친 월 100만원으로 빠듯하게 생계를 꾸리고 있다. 결혼해 따로 사는 형과 두 누나들은 가끔씩 들러 모자를 돕고 있다.
김씨를 걱정한 주변에선 “어머니를 요양병원에 모시라”고 권하기도 한다. 하지만 김씨는 “내 몸 힘든 것보다 어머니가 곁에 계신 행복감이 더 큽니다. 사랑으로 돌봐준 어머니에 대한 당연한 보답이죠”라고 말했다. 그의 소원은 “어머니가 휠체어를 타고 함께 산책 나갈 수 있을 만큼만 건강이 좋아지고, 오래오래 모시는 것”이다.
김씨는 어버이날인 8일 ‘효행자 서울특별시장표창’을 받는다.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99살 노모 모시는 시각장애 아들의 효심
앵커 멘트
시각 장애인의 몸으로 99살 노모를 지극정성으로 모시고 사는 한 아들이 있어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자신의 눈이 돼 보살펴준 은혜를 다 갚기엔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는 김형종 씨의 사연, 박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녹취 "배고파? 뭐 좀 잡수실까?"
56살 김형종 씨의 하루는 99살 어머니의 아침을 챙기는 일로 시작됩니다.
녹취 "좀 앉아 있어요. 내가 등 좀 이렇게 (만져줄게.)"
아픈 몸을 정성껏 주물러 드리고, 수시로 기저귀도 갈아드립니다.
마흔셋에 얻은 늦둥이 형종 씨.
20여 년 전 포도막염이 심해지면서 두 눈의 시력을 모두 잃었습니다.
인터뷰 김형종(시각 장애 1급/56세) : "3년 동안 어머니한테 (눈이 안 보인다는) 말을 못 했어요. 오랫동안…그런 얘기만 하려고 하면 제가 목이 메는데…"
이후 어머니는 그런 아들의 눈이 돼 일상 하나하나를 챙기며 삶의 버팀목이 돼줬습니다.
그러는 사이 어머니의 몸에 중풍이 왔고, 이번엔 아들이 거동이 불편한 노모의 손과 발이 됐습니다.
불편한 몸으로 쉽지 않은 일이지만 자신을 위해 희생한 어머니의 은혜를 생각하면 세월이 야속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김형종(효행상 서울시장 표창/56세) : "(어머니가) 젊어서부터 그 어려웠던 시절을 겪고, 자식들 키우느라고…"
어버이날을 맞아 효행상을 받은 형종 씨.
형종 씨의 유일한 바람은 어머니가 오래오래 사시는 것, 그것 하나뿐입니다.
녹취 "어머니 지금까지 나를 키워주셔서 감사해."
녹취 "(감사한가~!) 감사하지!"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이사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황식(69) 前 국무총리 - 2017.5.8. 동아外 (0) | 2017.05.09 |
---|---|
에마뉘엘 마크롱(39) 프랑스 대통령 당선 - 2017.5.9.중앙外 (0) | 2017.05.09 |
조성현(51) 수어(手語) 통역사 - 2017.5.6. 조선 外 (0) | 2017.05.07 |
김혜경(67) 50년 전 '원조 김연아' - 2017.5.6.조선 (0) | 2017.05.07 |
김정(77·전 숭의여대 교수) 서양화가 - 2017.5.6.중앙 (0) | 2017.05.07 |